​[팩트체크] 수능 절대평가,과거 학력고사 절대평가와 다른점..등급제 고집 이유?

2017-08-13 00:00
  • 글자크기 설정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의 수능 절대평가 반대 집회[사진=이광효 기자]

 교육부가 10일 발표한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개편 시안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아주경제’는 수능 절대평가 논란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잘못 알려진 것들에 대해 확인해 봤다.

 ▲2000년대 초반까지 수능은 전 과목 절대평가

 수능 절대평가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려면 무엇보다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올바른 개념을 알아야 한다. ‘절대평가’는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의하여 개개 학생의 성적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어떤 절대적인 기준'이란, 보통 교육목표(학습지도의 목표)를 가리킨다.

 ‘절대평가’는 각자의 성적을 그대로 표현하기 때문에 각 개인이 목표에 얼마나 도달했는지 알 수 있지만 다른 집단의 성적과 비교하기 어렵다.

 ‘상대평가’는 개인의 학업성과를 다른 학생의 성적과 비교해 집단 내에서의 상대적 위치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100명을 5단계로 평가할 경우 상위로부터 순서에 따라 7ㆍ24ㆍ38ㆍ24ㆍ7의 비율로 평점을 주는 것이다.

 ‘상대평가’는 객관적인 평가가 되며 이론적으로 다른 집단과 성적비교가 가능하지만 상대평가 결과만으로는 개인이 교육목표를 어느 정도로 달성했는지 알 수 없다.

 쉽게 말해 수능 절대평가는 학생의 수능 성적을 ‘원점수’로 평가하는 것이고 수능 상대평가는 ‘표준점수’로 평가하는 것이다. 즉 2004년 11월에 치러진 2005학년도 수능에 표준점수가 적용되기 전까지 우리나라는 수능 전 과목 점수제 절대평가를 시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안선회 교수는 12일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우리나라 입시는 표준점수가 적용되기 전까지 전 과목 점수제 절대평가였다”고 말했다.

 ▲등급만 표시하기 때문에 수능 무력화

 수능 절대평가를 반대하는 측은 “수능이 절대평가가 되면 수능 변별력이 없어져 수능이 무력화되고 정시가 폐지돼 금수저 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이 지금보다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학력고사 성적과 수능 성적이 대학 입학의 절대적인 전형 요소였던 지난 1980년대~2000년대 초반까지 학력고사와 수능은 모두 전 과목 점수제 절대평가였다. 모두 원점수 순으로 신입생을 선발했던 것.

 정부가 추진하려는 수능 절대평가가 문제 되는 것은 원점수로 등급을 나누면서 수능 성적표에 원점수나 백분위 등은 기재하지 않고 등급만 기재하는 수능 등급제 절대평가이기 때문이다. 등급만 표시되기 때문에 수능 변별력 약화는 불가피하고 대입에서 정시가 폐지될 가능성도 높아지는 것.

 안선회 교수는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는 수능 비중과 관계 없다. 정부가 하려는 수능 절대평가는 수능 등급만 표시하는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수능을 무력화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