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중국의 窓] 거대 중심 도시 꿈꾸는 선전(深圳)

2018-01-31 11:00
  • 글자크기 설정

[양갑용 성균중국연구소 연구실장]


선전(深圳)은 중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로 불리는 지역이다. 젊은이의 창업과 취업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가 젊은이들로 채워지다 보니 도시가      매우 역동적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실 선전은 경제특구로 시작된, 이제 ‘중년’의 나이에 접어들고 있는 도시다.
선전은 지난 1980년 8월 26일 경제특구로 지정돼 ‘40줄’에 들어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전은 여전히 뭔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는 젊은 도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선전은 이미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와 함께 1선 도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선전이 여전히 발전 잠재력과 가능성에서 선두 그룹에 있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

선전은 덩샤오핑(鄧小平)으로 대표되는 개혁·개방 정책의 상징과도 같은 지역이다. 1978년 중국공산당이 계급투쟁에서 현대화 발전으로 노선을 변경한 이후 덩샤오핑에 의해 경제특구로 지정된 곳이다.

따라서 덩샤오핑과 개혁·개방 그리고 선전 경제특구는 불가분의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선전은 지난 1992년 1월 덩샤오핑이 노구를 이끌고 개혁·개방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이른바 남순강화(南巡講話)를 진행했던 출발점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라는 개혁·개방 정책의 최일선에 선 곳이 바로 선전이고, 선전은 사실상 중국 개혁·개방의 상징인 셈이다. 제19차 전국대표대회(당대회) 이후 중국공산당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를 재천명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천년대계(千年大計)라는 슝안(雄安)신구 역시 사실상 중국의 19번째 경제특구다.

중국공산당은 이미 지난 19차 당대회에서 시진핑 집권을 계기로 18대를 기점으로 중국이 새로운 시대, 신시대(新時代)에 진입했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혁명과 건설 시대의 사고가 아닌 창의적인 사고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다.

마찬가지로 경제특구에 대한 새로운 방안 역시 전환의 시기에 놓여 있다. 그것이 선전 경제특구의 경계선 폐지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최근 국무원은 광둥(廣東)성 정부가 선전 경제특구를 가르는 경계선을 폐지해줄 것을 요청한 사항에 대해서 비준을 내렸다.

비단 이는 일개 경제특구의 면적을 넓히는 의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제특구를 신시대에 맞게 조정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것이 건설의 시대와 단절하고 덩샤오핑 시대의 개혁·개방 정책과 단절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개혁·개방의 유산인 속도(速度), 심도(深度), 관도(寬度)를 어떻게 조정할지가 정책의 중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이러한 조정의 조짐은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발전의 속도를 늦추는 문제는 이미 신창타이(新常態·New Normal)로 구체화돼 나타나고 있다. 중국이 더 이상 고도성장에 목매지 않고 중고속의 안정된 성장 시기로 진입하겠다고 정책의 조정을 선포한 상황이다.

아직 심도와 관도에서는 획기적인 전향적 조치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번 선전 경제특구 경계선 폐지 내용을 보면 관도와 심도를 모두 조정하는 방식으로 경제특구를 조정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먼저 관도 차원에서 철조망을 중심으로 협소하게 지역 경계로 구분돼 있는 경제특구를 넓히는 조치를 취했다는 점이다.

심도 차원에서도 본격적으로 홍콩과 광둥 경제권을 통합하는 초대형 도시군 형성을 통해 개혁·개방을 심화시켜 나가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특구의 내부 경계선을 개혁·개방의 심화에 걸림돌이 되고 특히 초대형 거대도시 발전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선전 경제특구의 경계선 폐지는 개혁·개방의 속도와 심도, 관도를 복합적으로 연동시켜 발전시켜 나가는 새로운 도시군 육성의 상징적인 조치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번 경계선 폐지 조치는 향후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하는 이른바 초대형 거대도시 육성 전략의 일단을 보여준다.

결국 광둥, 홍콩, 마카오를 연결하는 거대 도시의 밑그림을 보여주는 시범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징진지(京津冀), 장강삼각주(長江三角洲) 여타 지역의 ‘메갈로폴리스’ 정책의 거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거대 도시 육성 움직임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우리의 대(對)중국 도시 접근도 개별 도시뿐만 아니라 도시군(都市群)으로 시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한국과 중국 개별 도시 간 진행되고 있는 도시 협력이 거대 도시군 협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국의 도시 발전 맥락을 들여다봐야 한다.

국무원 문건에서도 밝혔듯이 정세, 사명, 임무에 대한 면밀한 학습이 필요하다. 현재 1월 중순 전후로 각급 인민대표대회가 열리고 있다.

선전 경제특구 경계선 조정은 사실 개혁·개방 40주년을 맞는 올해 기존 정책에 대한 재해석의 연장선상에서 다뤄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중국도 더 이상 기존 관례대로만 경제특구를 운영할 수는 없다. 선전 문제는 개혁·개방의 관도와 심도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는 새로운 거대 도시의 진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